설교자료
한글 성서와 초대교인들의 ‘성서신앙’ - 이덕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7-12-05본문
복음전도를 목적으로 설립된 성서공회의 기본 사역인 성서 번역과 출판과 반포 사업이 지닌 신학적 의미는 실로 크다. 성서 번역이나 출판은 단순한 경전 번역이나 책 만들기가 아니다. 성서 속에 담긴 ‘하나님의 말씀’이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겨짐으로 말씀 속에 담긴 복음은 새로운 문화의 토양 속에 뿌리를 내린다. 즉 토착 언어로 번역된 말씀을 읽은 토착민들이 깨달은 진리를 자기에게 익숙한 언어와 문화의 양식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자기 삶의 환경에서 실천함으로 “말씀이 육신이 되는”(요 1:14) 성육신(成肉身, incarnation) 사건을 경험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기독교와 그 문화는 ‘낯선 것에서 익숙한 것으로’(from the alien to the familiar) 바뀌는데 그것을 복음의 토착화(土着化, indigenization)라 부른다. 따라서 기독교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언제나 이러한 복음의 토착화, 말씀의 성육신 사건이 일어나는데 성서 번역과 인쇄, 그리고 반포 사역이 이루어지는 ‘말씀’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는데 특히 토착교인들의 ‘말씀 공부’ 모임인 사경회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났다.
1. 사경회와 부흥운동
한국교회의 사경회(査經會)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사경회 강사나 수강생들이 모두 교재인 한글 성서를 지녀야 한다는 사경회 특수성을 감안할 때 쪽복음 형태로나마 국내 번역본들이 여러 종류로 다량 인쇄되기 시작한 1896년 이후에야 본격적인 사경회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착교인들의 사경회에 대한 언급으로는 1897년 8월 말 서울에서 개최된 장로회 연합공의회에서 북장로회 선교사 베어드(W. M. Baird)가 선교 계획을 보고하는 가운데 “평양으로 리샤고 평양에 사경회를 쥬쟝고” 라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로 미루어 1897년 이전 평양지역에서 사경회가 실시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이듬해(1898년) 6월과 7월 평양과 부산에서 개최된 사경회에 대한 기사가 「그리스도신문」에 실렸다.
“지나간 륙월과 칠월 두 동안을 평양교회에셔 사경회 하엿대 여러분 목들이 셩경에 깁흔 을 교우들의게 힘써 만히 쳣더라. 부산셔도 지나간 칠월에 사경회 엿대 목 아담씨가 십여명 교우들의게 누가복음 권을 다 셰히 공부식혓더라.”
평양 사경회에서 두 달 동안 무엇을 공부했는지 알 수 없지만 부산에서는 한 달 동안 누가복음 전체를 배웠다. 이처럼 평양과 부산에서 개최된 사경회가 장로교회의 경우라면 감리교회의 경우는 1899년 1월 개최된 평양 사경회에 대한 보고가 남아 있다.
“우리 교회에 유익 것은 셩경을 공부이라. 이럼으로 지 음력 十二월 二十일 위시여 샤경회를 셜시엿 각쳐 교우들과 본교회 형뎨 즁 공부를 힘쓰 사 십여인이 목 에 모히여 졔졔히 깃분 으로 하님 긔도고 아 아홉시로 열시지 로마인셔 공부고 오후 두시로 네시지 요한 一二三셔와 디도셔와 아각셔를 공부여 동안에 하님의 묵우신 은혜와 목의 셩실히 침으로 형뎨와 들이 눈을 열어 지식의 유익을 엇고 각각 밋 이 더욱 굿건케 엿오니 감다.”
역시 한 달 동안 40여 명이 모여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성경 공부를 하였는데 방금 인쇄되어 나온 여러 종류 사도서신을 갖고 공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시작된 사경회가 신약성서 전체가 인쇄되어 나온 1900년 이후 더욱 활성화되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평양에서 사역하던 미감리회 여선교사 노블(M. K. Noble) 부인이 1903년 가을에 개최할 여자사경회를 소개하면서 쓴 글이다.
“이젼에 셩경이 부죡 에 누구던지 셩경을 시 동안만 보고져 여도 돈 십원을 내여야 보왓거니와 지금은 누구던지 셩경을 사셔 긔 집에 두고 늘 공부 수 잇 거 감사 일이요 사경회 치 거 반 열심케 하고 오도록 셩경공부 션들이 갑업시 오 이에게 칠 터이니 이 밋 사의 일치 못 맛당 됴흔 긔회니라.”
누구든 원하면 성서를 구해 읽을 수 있게 된 교회 환경이 성경공부와 사경회를 활성화시킨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노블 부인은 성서를 ‘아버지 편지’로, 사경회를 ‘아버지 편지 보러가는 것’으로 비유하였다.
“셩경은 하님이 우리의게 주신 편지니 우리의게 주신거 다 열심히 공부고 십흘 거시오 우리 아바지의 편지와 경계 아모 이던지 치 이가 잇면 시작기 젼 두어날 동안에 사경회 올나가 길노 큰 무리가 늘 득히 단닐 터이니 그런고로 다 셩이 뭇기 무 일노 이러케 모혀가뇨 면 다 열심히 답하기 예비지니 우리 아바지 편지보러 가노라 내가 여호와의 뎐에 영원이 살이로다 며(시 二十三O六 ) 우리와 치 모든 사이 다 졉을 밧을 터이니 우리 치 갑셰다 우리와 하님 압흐로 나갑셰다 지니라.”
이렇게 사경회가 활성화되면서 그 형태와 내용도 다양해졌다. 처음엔 성서 공부만 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성서 공부 외에 기독교 교리와 교인생활에 관한 기초 과정도 삽입했고 오후에는 불신자를 대상으로 한 전도활동도 벌이고 저녁에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전도집회를 열기도 했다. 사경회 기간도 1-2주 정도로 축소되었으며 교회 단위로 실시하기도 하고 지역 내 여러 교회가 연합해서 실시하기도 하였다. 연합 사경회를 ‘도사경회’(都査經會)라 불렀는데 평양에서 열린 도사경회가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구체적인 증언을 평양노회 역사기록(1925년)에서 읽을 수 있다.
“[1907년] 一月 六日브터 平壤城에셔 平南都査經會를 開고 八所로 分야 工夫며 各學校에셔도 聖神밧기 爲야 祈禱會를 開엿 金燦星이 崇德學校에셔 祈禱會를 引導며 路可福音 十五章에 蕩子悔改比喩로 講道 時 三百餘名 小學生 一同이 大聲痛哭며 或昏倒氣節며 罪를 自服 所聞이 卽刻으로 査經會 各所에 遍傳니라. 時에 吉善宙가 第八所에셔 聖神要理를 敎授더니 聖神이 會衆에 臨 蔡廷敏이 大聲痛哭며 罪를 自服기 始作야 八所 一同이 一時 悔罪痛哭엿스며 每夜에 李吉咸 宣敎師의 引導로 禮拜 中 忽然히 急 바람이 臨 듯 더니 이윽고 聖神이 降臨매 滿堂聽衆이 放聲痛哭며 各其起立야 罪를 自服니 哭聲과 自服聲을 分辨키 難더라.”
그리고 부흥운동을 거치면서 토착교인들의 사경회와 성경공부에 대한 열정이 더욱 고조된 것은 물론이다. 토착교인들의 사경회 열정은 대단했다. 그 열정은 다름 아닌 ‘성서를 배우려는’ 학생의 열정이었다. 1907년 평양 부흥운동을 현장에서 목격했던 스왈른(W. L. Swallen)의 증언이다.
“한국인들은 성서 공부에 열정적인 학생들이다. 집에서도 공부하고 초등학교, 특수학교, 중등학교, 전문학교, 대학교에서도 공부하고 사경회와 성경학원, 신학교에서도 공부한다. 우리는 성서를 공부하려는 이들의 욕구를 충분하게 채워준 적이 없다. 성서 공부에 대한 열정은 남성 못지않게 여성들도 대단하여 어떤 이들은 사경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삼일씩 걸어오기도 한다.”
선교사들은 이불과 양식을 짊어지고 이삼일 걸려 수백 리 길을 걸어서 사경회에 참여하는 교인들의 행렬을 보며 감탄하였다. 같은 시기 언더우드의 증언이다.
“한국 교인들은 며칠씩 걸어서 사경회에 참석하는데 웬만한 어려움은 거뜬히 견뎌 내고 있으며 250명에서 많을 때는 1,180명씩 모여 열흘에서 열나흘 동안 성서를 배운다. 이 같은 대규모 사경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가 소규모 사경회를 개최하였는데 북부 지역의 어느 선교지에서는 1년 동안 이 같은 소규모 사경회를 192회 실시해서 연인원 1만여 명을 기록하였다.”
사경회가 부흥운동의 요인이 되었듯이 다시 사경회는 교회 부흥의 요인이 되었다. 사경회와 교회 부흥이 떼어놓을 수 없는 상생(相生) 관계를 맺고 있음은 마펫의 진술에서도 확인된다.
“다른 모든 나라에서도 그렇겠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성서가 복음화의 제일 중요하고도 우선적인 요인이 되어왔다. 한국에서 성서는 아주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성서 지식으로 충만하여 그 능력과 영성과 기도 신앙과 관대함을 발휘하고 있다. 성서 공부와 사경회가 한국 교회 성장에 아주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설교가 예배 정신을 개발시키는 데 도움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성서야말로 한국 교회의 신앙과 지식의 기반으로서 영적 생활을 추구해나가는 데 필요한 영감을 공급해주고 있다.”
같은 평양에서 활동했던 북장로회 선교사 블레어(W. N. Blair)의 증언도 마찬가지다.
“한국 선교사업의 가장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사경회 제도이다. 개교회별로 매년 1주일 혹은 그 이상 모여 성서를 배운다. 마치 유대인들이 유월절을 지키듯 한국 교인들은 그 때만 되면 모든 일상생활을 접어두고 오직 성서 공부와 기도에만 전념한다. 이같이 성서 공부에만 전념한 결과 교회전체가 단합되어 사랑과 봉사로 이루어지는 진정한 부흥이 가능케 되었다. 이 점에서만큼은 미국도 한국을 본받아 부흥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블레어는 한국교회 사경회를 유대인들의 ‘유월절’(passover) 문화에 비유하였다. 그처럼 사경회는 1907년 부흥운동을 거치면서 한국교회의 대표적인 ‘신앙축제’, ‘절기문화’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구약성서도 번역되어 ‘성경 전체’를 읽고 공부할 수 있게 된 1911년 이후에 그런 현상은 더욱 강화되었다. 평북 선천에서 활동하던 북장로회 선교사 로스(C. Ross)의 증언이다.
“여러 사람의 수고로 신약은 이미 수년 전에 번역되었지만 구약이 한글로 번역된 것, 즉 성서 전체가 번역된 것은 불과 작년[1910년]의 일이다. 지금까지는 한문을 읽을 수 있는 학자들만 구약 본문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의 일반 평민들이 처음으로 성서 전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작년은 기념비적인 해라 할 수 있다. 이 점이 사경회에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지금까지는 한문을 해독할 수 있는 얼마 되지 않은 학자들의 도움으로 [구약 본문을] 이 나라 말로 번역해 [사경회 교재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성서 전체에서 보다 폭넓게 사경회 교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지역 선교부 선교사든, 다른 지역에서 파견 나온 선교사든, 토착교인이든 누구나 사경회 교사가 될 수 있게 되었다.”
1. 사경회와 부흥운동
한국교회의 사경회(査經會)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사경회 강사나 수강생들이 모두 교재인 한글 성서를 지녀야 한다는 사경회 특수성을 감안할 때 쪽복음 형태로나마 국내 번역본들이 여러 종류로 다량 인쇄되기 시작한 1896년 이후에야 본격적인 사경회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착교인들의 사경회에 대한 언급으로는 1897년 8월 말 서울에서 개최된 장로회 연합공의회에서 북장로회 선교사 베어드(W. M. Baird)가 선교 계획을 보고하는 가운데 “평양으로 리샤고 평양에 사경회를 쥬쟝고” 라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로 미루어 1897년 이전 평양지역에서 사경회가 실시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이듬해(1898년) 6월과 7월 평양과 부산에서 개최된 사경회에 대한 기사가 「그리스도신문」에 실렸다.
“지나간 륙월과 칠월 두 동안을 평양교회에셔 사경회 하엿대 여러분 목들이 셩경에 깁흔 을 교우들의게 힘써 만히 쳣더라. 부산셔도 지나간 칠월에 사경회 엿대 목 아담씨가 십여명 교우들의게 누가복음 권을 다 셰히 공부식혓더라.”
평양 사경회에서 두 달 동안 무엇을 공부했는지 알 수 없지만 부산에서는 한 달 동안 누가복음 전체를 배웠다. 이처럼 평양과 부산에서 개최된 사경회가 장로교회의 경우라면 감리교회의 경우는 1899년 1월 개최된 평양 사경회에 대한 보고가 남아 있다.
“우리 교회에 유익 것은 셩경을 공부이라. 이럼으로 지 음력 十二월 二十일 위시여 샤경회를 셜시엿 각쳐 교우들과 본교회 형뎨 즁 공부를 힘쓰 사 십여인이 목 에 모히여 졔졔히 깃분 으로 하님 긔도고 아 아홉시로 열시지 로마인셔 공부고 오후 두시로 네시지 요한 一二三셔와 디도셔와 아각셔를 공부여 동안에 하님의 묵우신 은혜와 목의 셩실히 침으로 형뎨와 들이 눈을 열어 지식의 유익을 엇고 각각 밋 이 더욱 굿건케 엿오니 감다.”
역시 한 달 동안 40여 명이 모여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성경 공부를 하였는데 방금 인쇄되어 나온 여러 종류 사도서신을 갖고 공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시작된 사경회가 신약성서 전체가 인쇄되어 나온 1900년 이후 더욱 활성화되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평양에서 사역하던 미감리회 여선교사 노블(M. K. Noble) 부인이 1903년 가을에 개최할 여자사경회를 소개하면서 쓴 글이다.
“이젼에 셩경이 부죡 에 누구던지 셩경을 시 동안만 보고져 여도 돈 십원을 내여야 보왓거니와 지금은 누구던지 셩경을 사셔 긔 집에 두고 늘 공부 수 잇 거 감사 일이요 사경회 치 거 반 열심케 하고 오도록 셩경공부 션들이 갑업시 오 이에게 칠 터이니 이 밋 사의 일치 못 맛당 됴흔 긔회니라.”
누구든 원하면 성서를 구해 읽을 수 있게 된 교회 환경이 성경공부와 사경회를 활성화시킨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노블 부인은 성서를 ‘아버지 편지’로, 사경회를 ‘아버지 편지 보러가는 것’으로 비유하였다.
“셩경은 하님이 우리의게 주신 편지니 우리의게 주신거 다 열심히 공부고 십흘 거시오 우리 아바지의 편지와 경계 아모 이던지 치 이가 잇면 시작기 젼 두어날 동안에 사경회 올나가 길노 큰 무리가 늘 득히 단닐 터이니 그런고로 다 셩이 뭇기 무 일노 이러케 모혀가뇨 면 다 열심히 답하기 예비지니 우리 아바지 편지보러 가노라 내가 여호와의 뎐에 영원이 살이로다 며(시 二十三O六 ) 우리와 치 모든 사이 다 졉을 밧을 터이니 우리 치 갑셰다 우리와 하님 압흐로 나갑셰다 지니라.”
이렇게 사경회가 활성화되면서 그 형태와 내용도 다양해졌다. 처음엔 성서 공부만 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성서 공부 외에 기독교 교리와 교인생활에 관한 기초 과정도 삽입했고 오후에는 불신자를 대상으로 한 전도활동도 벌이고 저녁에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전도집회를 열기도 했다. 사경회 기간도 1-2주 정도로 축소되었으며 교회 단위로 실시하기도 하고 지역 내 여러 교회가 연합해서 실시하기도 하였다. 연합 사경회를 ‘도사경회’(都査經會)라 불렀는데 평양에서 열린 도사경회가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의 기폭제가 되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구체적인 증언을 평양노회 역사기록(1925년)에서 읽을 수 있다.
“[1907년] 一月 六日브터 平壤城에셔 平南都査經會를 開고 八所로 分야 工夫며 各學校에셔도 聖神밧기 爲야 祈禱會를 開엿 金燦星이 崇德學校에셔 祈禱會를 引導며 路可福音 十五章에 蕩子悔改比喩로 講道 時 三百餘名 小學生 一同이 大聲痛哭며 或昏倒氣節며 罪를 自服 所聞이 卽刻으로 査經會 各所에 遍傳니라. 時에 吉善宙가 第八所에셔 聖神要理를 敎授더니 聖神이 會衆에 臨 蔡廷敏이 大聲痛哭며 罪를 自服기 始作야 八所 一同이 一時 悔罪痛哭엿스며 每夜에 李吉咸 宣敎師의 引導로 禮拜 中 忽然히 急 바람이 臨 듯 더니 이윽고 聖神이 降臨매 滿堂聽衆이 放聲痛哭며 各其起立야 罪를 自服니 哭聲과 自服聲을 分辨키 難더라.”
그리고 부흥운동을 거치면서 토착교인들의 사경회와 성경공부에 대한 열정이 더욱 고조된 것은 물론이다. 토착교인들의 사경회 열정은 대단했다. 그 열정은 다름 아닌 ‘성서를 배우려는’ 학생의 열정이었다. 1907년 평양 부흥운동을 현장에서 목격했던 스왈른(W. L. Swallen)의 증언이다.
“한국인들은 성서 공부에 열정적인 학생들이다. 집에서도 공부하고 초등학교, 특수학교, 중등학교, 전문학교, 대학교에서도 공부하고 사경회와 성경학원, 신학교에서도 공부한다. 우리는 성서를 공부하려는 이들의 욕구를 충분하게 채워준 적이 없다. 성서 공부에 대한 열정은 남성 못지않게 여성들도 대단하여 어떤 이들은 사경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삼일씩 걸어오기도 한다.”
선교사들은 이불과 양식을 짊어지고 이삼일 걸려 수백 리 길을 걸어서 사경회에 참여하는 교인들의 행렬을 보며 감탄하였다. 같은 시기 언더우드의 증언이다.
“한국 교인들은 며칠씩 걸어서 사경회에 참석하는데 웬만한 어려움은 거뜬히 견뎌 내고 있으며 250명에서 많을 때는 1,180명씩 모여 열흘에서 열나흘 동안 성서를 배운다. 이 같은 대규모 사경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가 소규모 사경회를 개최하였는데 북부 지역의 어느 선교지에서는 1년 동안 이 같은 소규모 사경회를 192회 실시해서 연인원 1만여 명을 기록하였다.”
사경회가 부흥운동의 요인이 되었듯이 다시 사경회는 교회 부흥의 요인이 되었다. 사경회와 교회 부흥이 떼어놓을 수 없는 상생(相生) 관계를 맺고 있음은 마펫의 진술에서도 확인된다.
“다른 모든 나라에서도 그렇겠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성서가 복음화의 제일 중요하고도 우선적인 요인이 되어왔다. 한국에서 성서는 아주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성서 지식으로 충만하여 그 능력과 영성과 기도 신앙과 관대함을 발휘하고 있다. 성서 공부와 사경회가 한국 교회 성장에 아주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설교가 예배 정신을 개발시키는 데 도움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성서야말로 한국 교회의 신앙과 지식의 기반으로서 영적 생활을 추구해나가는 데 필요한 영감을 공급해주고 있다.”
같은 평양에서 활동했던 북장로회 선교사 블레어(W. N. Blair)의 증언도 마찬가지다.
“한국 선교사업의 가장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사경회 제도이다. 개교회별로 매년 1주일 혹은 그 이상 모여 성서를 배운다. 마치 유대인들이 유월절을 지키듯 한국 교인들은 그 때만 되면 모든 일상생활을 접어두고 오직 성서 공부와 기도에만 전념한다. 이같이 성서 공부에만 전념한 결과 교회전체가 단합되어 사랑과 봉사로 이루어지는 진정한 부흥이 가능케 되었다. 이 점에서만큼은 미국도 한국을 본받아 부흥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블레어는 한국교회 사경회를 유대인들의 ‘유월절’(passover) 문화에 비유하였다. 그처럼 사경회는 1907년 부흥운동을 거치면서 한국교회의 대표적인 ‘신앙축제’, ‘절기문화’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구약성서도 번역되어 ‘성경 전체’를 읽고 공부할 수 있게 된 1911년 이후에 그런 현상은 더욱 강화되었다. 평북 선천에서 활동하던 북장로회 선교사 로스(C. Ross)의 증언이다.
“여러 사람의 수고로 신약은 이미 수년 전에 번역되었지만 구약이 한글로 번역된 것, 즉 성서 전체가 번역된 것은 불과 작년[1910년]의 일이다. 지금까지는 한문을 읽을 수 있는 학자들만 구약 본문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의 일반 평민들이 처음으로 성서 전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작년은 기념비적인 해라 할 수 있다. 이 점이 사경회에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지금까지는 한문을 해독할 수 있는 얼마 되지 않은 학자들의 도움으로 [구약 본문을] 이 나라 말로 번역해 [사경회 교재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성서 전체에서 보다 폭넓게 사경회 교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이제는 지역 선교부 선교사든, 다른 지역에서 파견 나온 선교사든, 토착교인이든 누구나 사경회 교사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첨부파일
- 한글 성서와 초대교인들의 성서신앙.pdf (402.5K) 0회 다운로드 DATE : 2024-05-18 09:2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