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성서공회

본문 바로가기
대한성서공회
제 51 호 2022-10
  • 배선복/제사장 문서에 ‘혼돈과의 전쟁’ 모티프가 있는가? — 창세기 1:2; 8:1; 출애굽기 14:21을 중심으로 —

    혼돈과의 전쟁, 에누마 엘리쉬, 바알 신화, 고대 근동, 제사장 문서 Combat Myth(Chaoskampf), Enuma Elish, Baal Cycle, Ancient Near East, Priestly Source
    배선복/제사장 문서에 ‘혼돈과의 전쟁’ 모티프가 있는가? — 창세기 1:2; 8:1; 출애굽기 14:21을 중심으로 —
  • 장석정/출애굽기 4:10의 번역 제안과 이해 — “입이 뻣뻣하고 혀가 둔한 자”를 중심으로 —

    출애굽기 4:10, 모세, 『셩경젼셔』, 새로운 번역, 칠십인역 Exodus 4:10, Moses,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New Translation, LXX
    장석정/출애굽기 4:10의 번역 제안과 이해 — “입이 뻣뻣하고 혀가 둔한 자”를 중심으로 —
  • 이창엽/열왕기하 23:29-30과 역대하 35:20-27에 나타난 요시야의 죽음 보도에 대한 언어적, 고고학적 고찰

    요시야, 느고, 갈그미스, 므깃도, 강 건너편 지역, 리블라 Josiah, Necho, Carchemish, Megiddo, Region beyond the River, Riblah
    이창엽/열왕기하 23:29-30과 역대하 35:20-27에 나타난 요시야의 죽음 보도에 대한 언어적, 고고학적 고찰
  • 조용현/잠언 18:24의 번역 재고와 제안 — 참된 우정에 관한 격언의 관점에서 —

    잠언 18:24, 번역, 우정, 친구, 형제 Proverbs 18:24, translation, friendship, friend, brother
    조용현/잠언 18:24의 번역 재고와 제안 — 참된 우정에 관한 격언의 관점에서 —
  • 유윤종/12예언서 내 스바냐의 정경적 위치와 그 함의

    12예언서, 스바냐, 포로기, 여호와의 날, 이방 나라들 The Book of the Twelve, Zephaniah, Exile, the Day of Yahweh, Foreign Nations
    유윤종/12예언서 내 스바냐의 정경적 위치와 그 함의
  • 김태섭/ ‘두 아들의 비유’(마 21:28-32)의 본문 유형과 국문 번역사 고찰

    마태복음, 두 아들의 비유, 마태복음 21:28-32, 본문비평, 개역개정 Matthew, parable of the two sons, Matthew 21:28-32, textual criticism, New Korean Revised Version
    김태섭/ ‘두 아들의 비유’(마 21:28-32)의 본문 유형과 국문 번역사 고찰
  • 권영주/사람들의 완악해짐은 예수가 비유를 사용한 목적인가 결과인가? — 마가복음 4:12의 ἵνα 해석 —

    예수의 비유, 씨 뿌리는 자의 비유, 마가복음 4장, 이사야 6장 ἵνα, Parables of Jesus, The Parable of the Sower, Mark 4, Isaiah 6, ἵνα
    권영주/사람들의 완악해짐은 예수가 비유를 사용한 목적인가 결과인가? — 마가복음 4:12의 ἵνα 해석 —
  • 박정수/신약 고유명사의 새로운 표기법 제안 — 『개역개정』 사도행전의 인명과 지명을 중심으로 —

    성경의 고유명사, 그리스어 음역, 성경 그리스어, 『개역개정』의 표기법, 신약의 인명지명 표기 biblical proper names, transcription of Greek, Biblical Greek, transliteration of NKRV, transliteration of NT’s person and place
    박정수/신약 고유명사의 새로운 표기법 제안 — 『개역개정』 사도행전의 인명과 지명을 중심으로 —
  • 조호형/“하나님의 법”(롬 7:22, 25; 8:7)에 대한 또 다른 이해

    하나님의 법, 노모스(νόμος), 원리, 종말론, 성령 The Law of God, Nomos (νόμος), Principle, Eschatology, Spirit
    조호형/“하나님의 법”(롬 7:22, 25; 8:7)에 대한 또 다른 이해
  • 이두희/『새한글성경』의 번역 배경과 주요 특징 — 신약을 중심으로 —

    성경 번역, 『새한글성경』, 형식일치, 내용 동등성, 다매체 bible translation, New Korean Translation, formal correspondence, dynamic equivalence, multimedia
    이두희/『새한글성경』의 번역 배경과 주요 특징 — 신약을 중심으로 —
  • 장성민/『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역사적 현재’ 번역에 대한 평가와 제언 — 마가복음을 중심으로 —

    동사상, 마가복음, 역사적 현재, 한국어 번역, 그리스어 시제 Greek Tense, Historical/Historic Present, the Gospel of Mark, Korean Translation, Verbal Aspect
    장성민/『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역사적 현재’ 번역에 대한 평가와 제언 — 마가복음을 중심으로 —
  • 조재천/『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은 원문에 얼마나 가까워졌는가? — 누가복음을 중심으로 —

    『새한글』, 『개역개정』, 『새번역』, 성서 번역, 누가복음 the New Korean Translation The New Testament and Psalms, NKRV, NKSV, Bible translation, the Gospel of Luke
    조재천/『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은 원문에 얼마나 가까워졌는가? — 누가복음을 중심으로 —
  • 안창선/『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번역에 관한 제언 —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들을 중심으로 —

    요한복음,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여자, 절기, 고아 Gospel of John, the New Korean Translation The New Testament and Psalms, women, feasts, orphans
    안창선/『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번역에 관한 제언 —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들을 중심으로 —
  • 이승현/『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πίστις 번역에 대한 분석과 제언 —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믿음, 예수-믿음, 주격 소유격, 목적 소유격, 아브라함 the New Korean Translation The New Testament and Psalms, faith, Jesus-faith, subjective genitive, objective genitive, Abraham
    이승현/『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πίστις 번역에 대한 분석과 제언 —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
  • 민현식/『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국어학적 의의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성경 번역, 한글 성경, 높임법, 장르 문법 the New Korean Translation The New Testament and Psalms, Bible translation, Korean Bible, honorification, genre grammar
    민현식/『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국어학적 의의
  • Un Sung Kwak/The Transmission of Interpretive Renderings in the Passover Law from LXX Pentateuch to LXX Chronicles

    Septuagint, interpretive translation, transmission, LXX Pentateuch, LXX Chronicles, Passover Law
    Un Sung Kwak/The Transmission of Interpretive Renderings in the Passover Law from LXX Pentateuch to LXX Chronicles
  • 말론 위네트(장양미 번역)/성육신으로서의 성서 번역 — 형식과 의미를 통한 변화의 힘 —

    기호 간 번역, 형식과 의미, 번역 이데올로기, 공연, 다중양식 intersemiotic translation, form and meaning, translation ideology, performance, multimodality
    말론 위네트(장양미 번역)/성육신으로서의 성서 번역 — 형식과 의미를 통한 변화의 힘 —
  • 김구원/Biblical Translation in Context (Frederick W. Knobloch, ed., Studies and Texts in Jewish History and Culture 10, Bethesda: University of Maryland Press, 2002)

    성경 번역, 문맥, 칠십인역, 타르굼, 유대인 번역, 독일어 성경, 영어 성경 bible translation, Septuagint, Targum, jewish translation, German bible, English bible
    김구원/Biblical Translation in Context (Frederick W. Knobloch, ed., Studies and Texts in Jewish History and Culture 10, Bethesda: University of Maryland Press, 2002)
상단으로